1. 청약 가점제란?
청약 가점제는 무주택 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통장 가입 기간 등 실수요자의 조건을 점수로 환산해 당첨자를 선발하는 제도입니다. 2025년 현재도 국민 주택, 민영주택의 상당수가 가점제로 공급되고 있습니다.
💡가점제 주요 적용 대상:
✔ 민영주택(전용 85㎡ 이하)
✔ 국민주택
✔ 특별공급 일부 항목 제외
✔ 민영주택(전용 85㎡ 이하)
✔ 국민주택
✔ 특별공급 일부 항목 제외
2. 청약 가점 항목 및 배점표 (2025년 기준)
총점은 84점 만점이며, 아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항목 | 배점 | 세부 내용 |
---|---|---|
무주택 기간 | 최대 32점 | 15년 이상일 경우 만점 |
부양가족 수 | 최대 35점 | 직계존비속 기준, 6명 이상일 경우 만점 |
청약통장 가입기간 | 최대 17점 | 15년 이상 납입 시 만점 |
3. 항목별 점수 계산 방법
① 무주택 기간 점수
- 1년 미만: 2점
- 5년 이상: 12점
- 10년 이상: 24점
- 15년 이상: 32점 (만점)
② 부양가족 수 점수
- 0명: 5점
- 2명: 15점
- 4명: 25점
- 6명 이상: 35점 (만점)
③ 청약통장 가입 기간 점수
- 1년 미만: 1점
- 5년: 7점
- 10년: 13점
- 15년 이상: 17점 (만점)
✅ 가점 계산기 활용 팁:
청약홈에서는 ‘가점 계산기’를 통해 본인의 점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청약홈에서는 ‘가점 계산기’를 통해 본인의 점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 평균 당첨 가점은 얼마일까?
2025년 기준 주요 수도권 지역의 청약 당첨 가점 평균은 아래와 같습니다.
지역 | 평균 당첨 가점 | 비고 |
---|---|---|
서울 강남권 | 69점 이상 | 경쟁률 매우 높음 |
경기 신도시 | 58~62점 | 1순위 인기 지역 |
지방 광역시 | 45~52점 | 가점제 + 추첨제 혼합 |
5. 가점이 낮을 경우 전략은?
❗가점이 낮다고 해서 반드시 청약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. 추첨제 활용, 특별공급, 지역 분산 전략을 통해 기회를 넓혀보세요.
- 추첨제 활용: 전용 85㎡ 초과 민영주택은 100% 추첨제 운영
- 신혼·생애최초 특별공급: 가점이 아닌 자격 요건만 충족 시 당첨 가능
- 비인기 지역 공략: 지방·비수도권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점으로도 가능